
[React] 카카오톡에 공유하기 기능 추가하기
2024. 8. 29. 20:39
개발/Javascript
현재 사주&타로 프로젝트를 만들고있다. + 포춘쿠키 기능 (헿)사용자가 자신의 결과를 쉽게 공유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SNS 공유 기능을 살펴보았고, 사용자가 많은 카카오톡과 먼저 연동하는 작업을 진행했다.카카오 디벨로퍼스 플랫폼 등록[Kakao Developers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. 카카오 로그인, 메시지 보내기, 친구 API,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.developers.kakao.com](https://developers.kakao.com/)카카오 API를 활용할 수 있는사이트.회원가입 후 내 애플리케이션 - 앱설정 - 플랫폼 에 들어가서 사이트 도메인을 등록해준다.사이트 도메인에 테스트 가능한 도메인을 입력한다. localhost 테스트때는 꼭..

[msw] msw 2.x.x 리액트에서 사용하기
2024. 6. 11. 23:11
개발/Javascript
포스트맨 무료버전을 쓰다가 항상 모자라서 새로 아이디 파는게 귀찮아서 MSW를 쓰게됐다. 그리고 콜렉션을 export 해둘 필요가 없어 다른사람들이 나중에 운영할 때도 편할 것 같았다. 구글에 있는 msw 세팅을 따라했더니 오류들이 발생해서 새로 쓰는 글 (항상 공식문서 Getting started부터 따라하자) 오류발생 코드import { rest } from 'msw' export const personHandlers = [ rest.get('/api/get-names', (req, res, ctx) => { const names = ['jimi', 'john', 'scott', 'queen'] return res(ctx.status(200), ctx.json(names)) }), ] export c..
[Javascript] React에 Zustand와 TanStack Query 함께 사용하기
2024. 3. 24. 22:10
개발/Javascript
RTK만 쓰다가 사내 스터디를 하게돼서 Zustand랑 TanStack Query 자료를 준비하게되었다. 회사에서 시연용으로는 포켓몬 API (무료 API중 제일 재밌 ㅇ_ㅇㅋㅋ)를 준비해서 가져갔다. 아래는 설명용으로 만든거! 블로그에도 쪄놔야지 히히 React + Zustand + Tanstack Query Zustand? Redux, Recoil 등과 함께 전역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. Redux와 개념적으로 비슷(Flux패턴을 채택)하기 때문에 Redux, RTK사용자가 학습하기 쉽다. Flux Pattern? 2014년 facebood F8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아키텍처로, Client-Side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위해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Action을 만들고..

[Javascript] Redux, Redux Toolkit
2024. 2. 27. 18:56
개발/Javascript
작년에 입사하고 회사에서 팀원간 스터디용으로 정리했던건데, 숙녀분께서 필요하다고 하셔서 티스토리로 두두등장 :)Redux?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중 하나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이고있다. 상태관리란 UI/UX에 맞게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서버와 주고받는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. 프로젝트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질수록 상태관리의 난이도는 크게 올라간다. (이를 해결하기위해 전역으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쓰게되는데, redux, MobX, recoil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children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.) props drilling리액트 특성상 단방향으로 prop을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하는 용도로만 쓰이게 되는데, 프로젝트가 커지다보면 위처럼 해당 데이터를 받기위해 필요없는 컴포넌트에..

[자스 딥다이브 스터디] 04장 변수
2024. 2. 22. 17:40
개발/Javascript
변태숙녀와 드디어 딥다이브 스터디를 시작했다. 더이상 미루면 답이 없을것같아서 일단은 숙녀분이 스터디를 하지않는 목요일에 우리의 자스 스터디를 넣기로 했다. 목요일 오후 9시 딥다이브 1강씩 가늘고 길게 보기로 했다 :) 2월 15일 첫 스타트 04장 변수 스터디 내용 기록 시자쿠 변수가 왜 필요할까? -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,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. -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다. 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(8비트)이며 컴퓨터는 메모리 셀의 크기, 즉 1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들인다. -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를 갖는다. 10 위 예제의 숫자값 10은 메모리상의 임의의 위치(메모리주소)에 기억(저장)되고 cpu는 이 값을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