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file image

L o a d i n g . . .

 

혼공네트워크 2주차 미션 

Ch.02(02-1) 확인 문제 2번(p.87), (02-3)확인 문제 4번(p.111) 풀고 설명하기


 

 


02-1 2번

프리앰블: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8바이트(64비트) 크기의 정보. 송수신지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

송·수신지 MAC주소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되는 6바이트(48비트)길이의 주소. LAN내의 수신지와 송신지를 특정

타입/길이: 이더타입이라고도 불리며, 이더넷 프레임이 어떤 정보를 캡슐화했는지 나타내는 정보

데이터: 상위계층에서 전달받거나 상위계층으로 전달해야할 내용. 네트워트 계층의 데이터+헤더인 PDU가 이곳에 포함됨

FCS(Frame Check Sequence): 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필드. 이 필드에는 CRC(Cyclic Redundancy Check, 순환 중복 검사)라고 불리는 오류 검출용 값이 들어감

 

02-3 4번

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)?

-  통신매체에 접근할 때 사용가능한 제어방식이라는 점에서 매체접근제어(MAC;Media Access Control)방법의 일종이라고 불린다.

- 반이중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

- CS(Carrier Sense, 캐리어감지): 현재 통신매체의 사용 가능 여부 검사

- MA(Multiple Access, 다중 접근): 복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접근하려는 상황. 이때 충돌이 발생한다.

- CD(Collision Detection, 충돌 검출): 충돌을 감지하여 잠시 전송을 중단시키고, 충돌을 검출한 호스트는 다른이들에게 충돌이 발생했음을 알리고자 잼신호를 보낸다. 그리고 임의의 시간을 기다린 뒤 다시 전송

 

=>  CSMA/CD를 통해 충돌문제를 완화하기보다는 전이중모드로 통신하면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누어지기에 충돌위험이 감소한다.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스위치 이다.

 

반응형
복사했습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