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article thumbnail image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a2Ms/btrRVubSm2s/Vkn6EX4XD9QvD0N37D6XJ1/img.png)
물리계층?
- OSI모델 1계층. 시스템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신호를 변환 및 제어한다.
-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0과 1만 사용된다.
-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야한다.
- 전기 신호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.
- 아날로그 신호는 정현파(물결모양)이며 주파수, 진폭, 위상 등의 특성을 포함하여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파형이다. 주로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된다.
- 디지털 신호는 막대모양이며 2진수 0과 1에대한 전압 펄스의 연속적인 구성이다.전기신호로써 처리된 정보를 수식화하고 전산처리하여 프로그램이 가능하다.
- 데이터 송신 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 컴퓨터에 도착하고,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한다.
- 0과 1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때 필요한것은 랜카드다. 0과 1의 정보는 랜카드로 전송되고 랜카드는 0과 1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.
복습 :
물리계층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층
참고:
- 모두의 네트워크 (미즈구치 카츠야 저)
반응형
'개발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R? CSR? SEO? (1) | 2023.01.01 |
---|---|
[Network]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 (2) | 2022.12.07 |
[Network] OSI모델 TCP/IP모델 (0) | 2022.11.24 |
[Network] LAN? WAN? (2) | 2022.11.23 |
[Cloud] 인프라 vs 플랫폼 vs 서비스웨어 (2) | 2022.1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