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/Inafolio
[혼공단 12기] 혼공네트워크 - 1주차
이나당
2024. 7. 6. 11:37
혼자 공부하는 습관이 무너진 시기에 마침 혼공단을 모집한대서 공부 습관 챙길겸 다시 등록
요즘 진짜 공부하려고 자리에 앉기가 너무 너무 힘들다.
1주차 미션
OSI 모델 및 TCP/IP 모델 차이점을 정리하고,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작성해 보기
이전에 정리했던 글이있어서 OSI와 TCP/IP 모델에 대한 설명은 이걸로 복습.
OSI와 TCP/IP모델처럼 통신과정을 계층으로 나눈 이유
- 계층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 정해져 있어 계층의 목적에 맞게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가 용이
- 계층별로 진단할 수 있어 네트워크 문제진단과 해결이 용이
PDU(Protocol Data Unit)
각 계층에서 송수신 되는 메시지의 단위
OSI계층 | PDU |
응용 | 데이터(data) |
표현 | |
세션 | |
전송 | TCP: 세그먼트(segment), UDP: 데이터그램(datagram) |
네트워크 | 패킷(packet) |
데이터링크 | 프레임(frame) |
물리 | 비트(bit) |
1-1 확인문제 2번
- 네트워크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 도움을 준다.
-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 도움을 준다.
- 많은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비와 상호작용하며 실행된다.
- 채용 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거나 검증하는 기업이 존재한다.
1-3 확인문제 2번
- OSI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통신과정을 구분한다.
- TCP/IP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통신과정을 구분한다. (응용, 전송, 인터넷, 네트워크액세스)
-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.
-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문제 진단과 해결을 용이하게 한다.
반응형